1. 해부학적 부착
▶상부섬유
경추1 ~ 3 극돌기, 항인대 및 후두골 상항선 부위 --> 쇄골 1/3 지점(견뽕)
▶중부섬유
경추6 ~ 흉추3 극돌기의 극간인대와 극돌기--> 견봉과 견갑골극의 상연
▶하부섬유
흉추4 ~ 12 극돌기 --> 견봉
▶신경
운동신경- 11뇌신경 / 감각신경-경추 2,3,4
2. 기능
▶상부섬유
편측: 어깨 고정시 목의 굴곡, 반대편 회전을 보조
목 고정시 : 거상
기립자세에서 팔의 무게를 지지하는데 보조 및 상지의 무게 이동 시키는데 보조
▶중부섬유
견갑골의 내전 , 어깨의 굴곡과 외전을 보조, 견갑골 회전 보조
▶하부섬유
견갑골의 회전 및 후방으로 당김 , 상완의 굴곡과 외전 보조
3. 방사통
▶상부섬유
-후경부 외측, 하악각 부위 및 측두골 주위의 통증 발현
긴장성 두통의 중요한 원인
가끔 후두부 및 어금니에도 통증 방사
어지럼증이나 현훈에도 관계됨
흉쇄유돌근의 쇄골부와 연관
- 목의 통증과 유사하나 두통은 없다. 후두하근 부위의 통증 방사
무거운 코트시 문제, 반대편 완전 회전신 통증 발생. 뻣뻣한 목의 한 원인
▶중부섬유
-경추7, 흉추1 부위의 작열통방사(상흉추 부위 중심으로 뒷목 전체 뻣뻣하게 함)
-견봉위의 압통과 통증 방사 , 옷에 의한 압박이 지속될 때 통증 발생
-상지외측 부분 트러블 많다
▶하부섬유
-견갑상부의 깊이 아리는 미만성 통증방사(팔쓰기가 어려움), 상부 경추지역 통증 관여(어깨통증), 어깨를 시리다고 표현, 무지른다.
-계속적인 작열통을 견갑골 내측연 능형근 부착 부위에
4. 원인과 활성화
▶상부섬유
하지길이 불일치, 긴 지팡이 장시간 이용, 전화나 칠판에 글씨를 쓰거나 높은 책상에서 타이프 칠 때 어깨가 거상되는 동작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때
팔꿈치 지지없이 오랜시간 바느질, 의복이나 목걸이 등은 승모근 과부하 걸림(지속성)
추운날 무거운코트 착용하고 움츠리고 다닌후 가슴이 큰 여자 브레지어 착용
▶중부섬유
라운드 어깨 즉, 대흉근의 단축에 의한 과부하로 쉽게 발생
팔짱을 낀 채로 오랜 시간 지속한 경우
운전대의 꼭대기를 잡고 운전하는 습관
▶하부섬유
책상에 다리를 집어 넣지 못하고 앉은 채로 상체를 숙여서 업무를 보는 자세
턱을 고우고 책을 보거나 전화를 받는 자세